2011년 12월 21일 수요일

변수(variable)에 대해

1. 정의
수학에서 변수(variable)란 주어진 문제의 범위내에서 변화할 수 있는 값(value)이다.
반면, 상수(constant)는 종종 알려지지 않았거나 결정되지 않았어도 "바뀌지 않는 값"이다.

2. 독립/종속 변수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변수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구별되는데,
독립변수는 어떤 계(system)에 대한 입력(inputs)이며 다른 값을 자유롭게 취할 수 있는 반면, 종속변수는  어떤 계에 있는 다른 값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그러한 값이다.

3. 관련 용어 - 매개변수(parameter)

parameter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말로, 옆에(beside) 또는 보조적인(subsidiary) 의미의 para 라는 단어와 척도(measure)라는 뜻의 metron이 결합된 단어로 수학, 논리학, 언어학 등에서 사용된다.

수학에서 parameter는 함수들 또는 변수들의 관계를 방정식으로 설명하기 어려울 때 하나의 공통 변수(a common variable)를 사용하여 그러한 관계를 관련시키는 역할을 하는 양적 개념의 수(quantity)이다.

일반적으로 parameter를 "매개변수"라 부른다. parameter도 넓은 의미에서 변수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음의 예처럼 독립/종속변수와 약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소득이 일한 시간과 임료(wage)를 기준으로 계산될 때, 일한 시간은 쉽게 변할 수 있으나 임료는 좀더 정적이다(물론 장기적으로 임료 역시 변할 수 있다).  이를 함수로 나타내면 소득 = 일한 시간 * 임료

이때, 일한 시간은 독립변수, 임료는 매개변수, 소득은 종속변수가 된다.

---> 이상은 "위키피디아" 참조




2011년 12월 17일 토요일

알고리즘(algorithm)


수학 또는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알고리즘"이란 어떤 함수를 계산하는데 있어서 잘 정의된 명령들(instructions)의 한정된 목록으로 표시되는 유효한 방법(effective method)이다(위키피디아 참조).

더 줄이면,
알고리즘은 어떤 함수(function)를 계산(computing)하는 하나의 절차(procedure)이다. - by Rogers 

위와 같은 정의로부터 알고리즘을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우나 간단히 말하면 알고리즘이란 어떤 문제(함수)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내지는 절차인 것 같다. 





 

2011년 12월 16일 금요일

대기 이론(queueing theory)

first in, first out(선입 선출) = first come, first served.
먼저 들어온 것은 먼저 처리한다.


반면,
last in, first out(후입선출) = last come, first served.
나중에 들어온 것이 먼저 처리된다.


2011년 12월 14일 수요일

cydia means ,,,

시디아(cydia)는 나방의 한 종류이다. 주로 사과나무의 잎에 그 유충을 심어넣는데 나중에 이 유충은 사과 속에서 자라게 된다(위키피디아 참조). 사과농장의 농부에겐 이 나방이 골칫덩어리일 것이다. 그 유충이 들어간 사과는 겉은 멀쩡해 보이나 속은 썩었기 때문이다. 신기하지 않은가?  유충이 어떻게 사과 속에 들어갔는지 또한 그러한 환경에서 자라난다는 것이.

한편, 어떤 사람은 ios에 자신이 만든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심어 넣고 이를 "시디아"라 이름붙였는데 위와 같은 이야기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기막힌 이름이라 할 것이다.  이름은 결국 본질을 드러낸다(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ios란 apple 제품(아이팟, 아이폰, 아이패드 등)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를 말함.

결론적으로 말해 시디아는 ios 내에서 기생(?)하는 프로그램인 것이다. 덧붙이면 이 시디아는 탈옥(jailbreak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생성되며 탈옥 후엔 앱스토어를 대체하는 유사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탈옥을 하게 되면 앱스토어를 이용할 수 없다. 대신 이 시디아를 통해 수많은 앱(애플리케이션의 줄임말)을 다운받아 apple 제품의 제한된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jailbreaking
 단순하게 말하면, ios라는 폐쇄적 운영체제를 탈옥 도구 또는 프로그램(jailbreak tool)을 이용하여 여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자동차를 개조(tuning)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자동차 외관 혹은 내부의 장치 등을 자신의 입맛대로 변경 내지는 수정하는 것처럼.

그러나 이는 위에서 말한 나방의 유충처럼 사과를 썩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apple 제품의 제한된 기능을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농부의 입장(apple사)에선 달갑지 않겠으나 그 제품사용자들에겐 반가운 것일 수 있다(*그러나 탈옥된 기계의 보안성이 문제된다. 시디아를 통한 거대한 네트워크 상에 어떤 의도를 가진 자가 트로이의 목마를 흉내내어 암호화되지 않았거나 보안성이 취약한 정보를 hunt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1년 12월 12일 월요일

연수교육기준

-교육기준은 다음과 같다(공인노무사법 시행규칙 제7조 제2항 별표 참조).


1. 직무교육은 다음의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여 40시간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
가. 직업윤리 등 소양교육 ; 10%
나. 노동관계 법령 등 이론교육 ; 50%
다. 노무관리 및 상당기법 등 실무교육 ; 40%

2. 실무수습은 다음의 단체 또는 기관에서 실시한다.
가. 개업노무사의 사무소
나. 합동사무소
다. 노무법인
라. 공인노무사회
마. 그 밖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는 공인노무사 업무와 관련된 단체 또는 기관

------
직무교육 기간은 4주, 실무수습 기간은 20주다.







공인노무사 교육(직무개시 요건)

공인노무사에 대한 교육은 크게 연수교육과 보수교육으로 나뉜다(이는 직무를 개시하려는 자에 대해 적용되는 것이다). 
연수교육(6개월)은 직무교육(1개월)과 실무수습(5개월)으로 이루어진다. 교육시기는 매년 1월이다. 그리고 보수교육은 개업노무사(직무를 개시한 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개업노무사는 이를 매년 받아야 한다(공인노무사법 제5조의 2 참조).